국어 배경지식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물화지 한번씩 건드려본 이과생인데요. (물1 화2-> 물1 지2)
저는 확실히 물화지 지문 나오면 다른 지문들에 비해서 읽기가 훨씬 편하긴 하더라구요.
반면, 생물지문은 나올 때마다 저가 굉장히 헤매는데 비해서 다른 생물하는 애들은 쉽게 풀더라구
요...
이게 이과 지문들만 좀 이런경향이 있는건가요? 아니면 문과 지문들도 비슷한가요?
예를 들면, 저가 법과 정치쪽 지문에 굉장히 약한데 이 부분에 대해서 기초적인 공부를 한다면
이 쪽 지문을 푸는데 과연 도움이 될거라고 보시나요?
만약 된다면, 어느 정도로 공부하는게 그나마 효율성을 챙길 수 있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쌍윤 실개완이랑 기시감으로 공부하려는데 생윤은 실개완이 아직 안나왔고 윤사는...
-
1칸썼는데 조마조마해서..
-
고수 : 차원을 낮춤
-
썰) 첫 연애 0
-
내 첫 연애 1
-
알바에서 배운 짬으로 ㅈㄴ 잘떨엇는데 그건 이제 롤로 따지자면 일반 게임이였던거임
-
수면이 문제였나 눈썹문신까지 받아야지 흐흐
-
유치원 때로구만..5살 때 두명의 여자에게 뽀뽀를 받았지 음
-
내 첫 글.. 0
https://orbi.kr/00027141765
-
김동욱 1
자러감
-
본인이 단기기억이 많이 좋다 느끼시나요? 예를들어 조건을 딱 한번 읽고 다른...
-
출출하네요
-
맞팔해쥐 0
80명 채우고싶당
-
수많은 연애글 속 13
제대로 된 연애 해본 적도 없는 솔로들은 좋아요 ㅋㅋㅋ
-
이거 가능한가요?
-
힘냅시다 1
지난 삶이 실패로 느껴지더라도 난 가치없는 사람이라고 단정짓기엔 살아간 날보다...
-
.
-
https://orbi.kr/00070331345 기억력에 관한 글
-
쉬는시간마다 9반에서 2반까지 찾아오길래 부담스러워서 손절함
-
대만에서 4년 9개월 만에 사형이 집행됐다. 17일 중국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
또 연애썰도네 3
여긴 해본적도 없는 사람이 과반이라고 ㅅㅂ
-
전 지웠기때문이죠
-
2호선 뭔가 모양이 신기함
-
아 그래도 진짜 건전하게 만나긴 했다 애초에 학사라 외박도 못 함
-
의대도 붙음 10
원서 8칸6칸6칸 3합으로 마무리 이제 수능 진짜 안 봄 ...
-
현역 34355(국어 모고땐 4)에서 재수 23222 받았는데요 현역땐 시발점...
-
동생 주사 1
tmt
-
알사람 없겠지
-
던파캐릭무한증식
-
으흐흐흐흐흐흐
-
절대로 안 걸리는 사람이라 그냥 나 세우고 심판 보라 함 옆에서 틀린 거 잡아달라고
-
https://orbi.kr/00070225929틀딱들 놀리는 글
-
다시금깨닫기 4
내가 누군가를 좋아한다는 사실이 어쩌고
-
4년 전 글을 어케 찾아…
-
첫 글 뭐였더라 0
아마 남아있는 저 10모 인증이 맞을 듯 https://orbi.kr/00069505681
-
https://orbi.kr/00070779797
-
230929 같은거요ㅠㅜ
-
맞팔 3
9
-
내 첫글은 1
바탕 후기글이였음 그때부터국어실모단ㅋㅋㅋㅋ
-
다시 올리는 고백썰 25
중3 모든 시험이 끝나고 반에서 넷플릭스 보면서 놀 때였음 우리 반은 '좋아하면...
-
https://orbi.kr/00070847954 이때까지만 해도 어색해서 고능아인...
-
진짜 잘못된 사람한테 당하면 그것보다 ㅈ같을 수 없음;; ㅈ같다는 표현 그 이상임...
-
울면서 안 놔주기 집 못 가게 하기 근데 안 잡히더라고..
-
오르비 잘자요 0
-
부탁드립니다 형님들 !!
-
(주요 문항 분석서라고 적혀있지만 사실 28문항 다 해설이 있다는 점,,,)...
-
나는 감히 내가 짝사랑을? 하면서 배덕감 느껴서 짝사랑 못하는데 ㅈㄴ 부럽네 덕분에...
-
https://orbi.kr/00070173258제대로 글쓰기 시작한 시점
그 배경지식 공부할 시간에 비문학 푸는 법 자체를 공부하는게 낫습니다. 배경지식은 공부한다고 쌓아지는게 아니죠. 지금껏 들어온것 읽어온것들이 쌓여온것입니다.
나름 비문학 푸는법은 저만의 방법으로 확실히 체화를 시켰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가끔 GRIT이나 강대샘들이 주는 어려운 지문들을 풀때면
배경지식이 부족해서 힘들다고 느껴질때가 있더라구요...
확실한 100점을 위해서 배경지식을 조금 공부해보고 싶은것인데 많이 비추천 하시나요?
문과고 님의 반대 경우처럼 인문 지문에 수월함을 느끼지만
이과 배경지식이 딱 떨어져서 정말 도움이 되는데 반해(작년 돌림힘이나 13이상기체방정식 같은?) (아 이건 이과 친구들에게 직접 들은거라 그러련 하심 됩니다 ㅋㅋ)
문과의 경우는 크게 직접적인 도움이 되진 않는거같습니다!
제가 윤사 선택자인데 작년 도덕적 운 지문도 그랬고, 과거 칸트 관련 지문도 오히려 배경지식이 방해가 되었거든요
그러니까 문과 지문에서 철학 쪽은 정말 공부라는걸 비추하고,
법정은 딱 떨어지고 내용이 바뀌어 출제되지 않는 걸 생각해보면(기판력이 정의가 바뀌진 않겠죠ㅋㅋ)
분명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근데 책을 사서 읽기보단 네이버 캐스트나 간단한 칼럼 보심이.. 적당할 거 같아요 딱 그 정도?
적어도 원고 피고 항소 상고 이런 단어에 익숙해지고 적응력을 키우면 충분하다 봅니다
그렇군요 정말 감사합니다! 말씀대로 법과정치 기본적인 단어들만 공부하는것이 좋을것 같네요
사실 그걸 의미있게 도움 될 정도로 공부하려면 끝도 없어져요.
그냥 평가원, 교육청, EBS 비문학 지문 정도에 있는 내용 정도 이해하는게 그나마 나을듯
법과 정치 / 경제 쪽 기본 개념어 들만 공부 해보려구요~ 하루에 한시간 정도씩 이번 방학동안 2~3번보면 어느정도는 도움 될것 같더라구요. 시간도 그닥 많이 안걸리구요!
공부하면 도움은 되겠지만 주어진 시간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그거 공부할 시간에 다른 거 공부하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해요
지금까지 읽었던 지문중에 생소했던 단어위주로 정리해보는것도 도움이 될거같아요
http://i.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7377268&showAll=true
저 때 당시 말고도 예전부터 항상 논란이 있던 주제인데
'배경지식이 있으면 분명히 도움 된다' 라고 항상 결론이 났었습니다
배경지식이 있으면 분명히 도움되는 건 사실이지만 따로 찾아서 공부하는 건 너무 비효율적인 것 같아요
저는 문과인데 자주 나오는 과학쪽 배경지식은 정리하면 좋아요. 근데 철학은 비추고 예술은 사조의 흐름정도 파악하는 건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