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folio 팀 [1252174] · MS 2023 · 쪽지

2024-12-30 22:51:40
조회수 658

[AI 세특 작성]세특 작성 노하우 4 - 내실 있는 세특을 위한 수업&평가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simmen.orbi.kr/00070938909

앞서 세 차례에 걸쳐 세특의 중요성과 작성 원칙, 실전 요령에 대해 함께 살펴보았는데요. 오늘은 내실 있는 세특 작성을 위해 일상의 수업과 평가 방식을 어떻게 개선해 나갈 수 있을지 고민해 보려 합니다.


세특은 결국 수업 활동의 산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학생의 성장과 잠재력을 포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에피소드가 만들어지려면, 그만한 교육적 경험이 선행되어야 하는 법이죠. 따라서 세특 작성에 돌입하기에 앞서 학생 중심의 풍성한 수업 설계에 공을 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훌륭한 세특은 탐구의 즐거움을 깨우는 발문, 학생 주도의 토론 수업 등 단순히 '가르치는' 수업이 아니라 '함께 배우는' 수업에서 나옵니다. 학생 스스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해답을 모색해 가는 과정 속에서 비로소 그들만의 특별한 성장 스토리가 써지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수업 설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예컨대 국어 시간에 시 작품을 감상하는 수업이 있다고 합시다. 수업 진도를 위해서 교사가 일방적으로 작품 해설을 전달하는 시간도 필요하겠지만, 학생 저마다의 인상과 해석을 나누는 대화의 장 같은 시간이 있다면 세특 작성에 보다 유리할 것입니다. ‘이 시에서 가장 마음에 와 닿은 구절은 무엇인가요? 그 까닭은 무엇인가요?’ 같은 문제 제기로 학생들의 감상을 촉구한다면 그들이 내놓은 다양한 해석이 전부 소재가 됩니다. 


이렇듯 사고를 자극하는 발문은 학생 간 토론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습니다. 한 학생이 제기한 견해에 다른 학생들이 동의 또는 반박하며 논의를 이어가다 보면, 저마다의 관점에서 시를 바라보며 작품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구성해 나가게 됩니다. 이 같은 탐구와 소통의 경험은 단순 지식 습득 이상의 값진 배움을 선사할 것입니다.


토론 수업을 진행하면서 한 가지 염두에 둘 점은 교사가 일정 부분 논의를 유도하되 지나치게 개입하지 않는 것입니다. 토론이 겉돌지 않도록 적절한 시점에 코멘트를 덧붙이되,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고 토론을 이끌어가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토론 중 한 학생이 작품의 외적 요소와 연결 지어 날카로운 통찰을 드러냈다면, 이 역시 세특에 담기에 충분한 의미 있는 장면이 될 수 있습니다.


지필고사 중심의 평가로는 학생의 다채로운 능력을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세특에 유의미하게 담길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포착하려면, 수행평가를 적극 활용하여 문제해결 과정에서 발휘되는 역량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가령 사회 교과에서 '지역 사회 문제 탐구' 수행평가를 계획하고 있다고 합시다. 학생들은 모둠을 이뤄 우리 동네의 고민거리를 찾아보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됩니다. 여기서 교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결과물의 완성도 그 자체가 아닙니다. 주제 선정부터 자료 수집, 토의와 정리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이 함께 문제를 헤쳐 나가는 과정을 세특에 담을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근거를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당당히 개진하는 학생, 동료들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며 협력을 이끄는 학생, 어려움에 봉착해도 끝까지 해법을 모색하는 학생 등 수행평가의 순간순간은 학생들의 잠재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의 장입니다. 이때 교사가 섬세한 관찰자로서 학생들 곁을 든든히 지켜준다면 세특에 담아낼 만한 성장의 증거들이 눈에 띄게 될 것입니다. 


진로 탐색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동아리 활동 등의 교내 활동도 많습니다. 모의 법정, 설문조사를 통한 심리학 실험, 토론 활동 등을 통해 학생들의 적성을 깊이 있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심사에 맞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며 열정을 불태우는 학생들, 그 속에서 목표를 구체화해 가는 학생들의 모습은 단연 눈에 띄는 세특 사례가 되어줄 것입니다.


이처럼 교과와 연계된 심화 활동은 단순히 지식 확장을 넘어 학생의 강점을 계발하고 진로를 모색하는 소중한 기회가 됩니다. 매일매일의 수업 속에서 세특감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교실 밖으로 시야를 넓혀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활동들을 고민해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결국 세특은 일상의 교육 활동에 기반을 두되,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학생의 성장을 견인하려는 교사의 노력이 녹아들 때 빛을 발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수업 시간 하나하나를 의미 있게 설계하고, 학생 개개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선생님들이 계셨기에, 오늘날 학생부 종합 전형이라는 체계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 아닐까요?


최근 정말 많은 분들께서 aifolio를 사용해주시고 계신데, 많은 관심 감사합니다. 선생님과 학생의 노력의 결과물을 매끄럽게 풀어내기 어렵다면 aifolio가 작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aifolio 소개는 이전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orbi.kr/00068682489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