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이영준T] 수능 국어에서 시간과의 싸움 전략
오늘 '독서, 화법, 작문 길잡이' 강좌를 오픈했습니다.
설레고 떨리기도 합니다.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는 진실된 수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각 갈래별 특징과 그에 따른 시간을 줄이는 법입니다.
[공통]
1. 정답인 줄 확실하게 알면 넘어가라.(오답인 이유까지 알 필요는 없습니다. 정확히 풀었다면 자신의 답에 자신감을 지니세요^^)
2. 지문 내용을 이해하고, 정확히 기억해서 풀어라.(이것보다 확실하게 시간을 줄이는 법은 없어요)
화법
(1) 특징 : 시험 문제 처음에 나오며, 내용은 쉽지만 정보량이 많은 것이 특징 그래서 심리적 부담감을 느낌.
(2) 대책 : 정보량이 많지만 내용은 쉽다. 그러기에 읽는 중에 풀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간다.(독서는 중간에 끊어서 문제 풀면 안 된다. 왜냐하면 지문이 어렵기 때문에 나중에 무슨 내용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올해 1번 문제는 ① [A], ②[B], ③[C], ④[D], ⑤[E] 이렇게 나았는데, 읽어 가면서 ①번을 보고, 또 읽어가면서 ②을 보고, 이런 식으로 읽는 중에 해결해 나가면 된다. 그리고 다른 문제는 다 읽은 것을 바탕으로 풀어 나가면 된다.
(3) 주의할 점 : 화법은 시험 처음에 나오기 때문에 너무 의욕적으로 접근해서 빨리 풀려고 하면 오히려 시험을 망칠 수 있다. 정보의 양이 많기 때문에 빨리 읽으려고 하면 정확하게 풀기 어렵다. 오히려 여유롭게 생각하면서 문제를 풀어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지문의 내용이 많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다.
2. 작문
(1) 특징 : 자료를 분류하고 적용하는 논리성, 고쳐 쓰기 부분에서 문법 문제, 표현법 문제 등으로 출제 된다.
(2) 화법보다는 까다로울 수 있지만, 독해 부담이 적기 때문에 화법보다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작문은 문제 유형별 문제 풀이 방법을 공부해서 시간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자료 해석 및 분류 문제는 지문을 볼 필요 없이 문제와 자료를 바로 비교하면 되어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주의할 점 : 자료의 통일성, 일관성 등을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논리적 문제 풀이 능력이 필요하다. ※ 참고) 자료 해석의 경우, 문제 자체가 복잡하기 때문에 정답이 뒤에 있을 확률이 높다.(확률이 높은 것이지 100%는 아님) 뒤 선지부터 풀면서 정답이 나오면 바로 넘어가야 한다.
3. 문법
(1) 특징 : 현재 B형처럼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기에 기본 개념을 바로 물어보는 문제보다는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해석하는 문제가 출제될 것이다.
(2) 독해로만 보면 독해의 양이 적기 때문에 기본 개념이 튼튼하게 자리잡혀 있으면 문제 풀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주의할 점 : 기본 개념이 빈약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4. 독서(비문학)
(1) 특징 : 지문이 길고, 내용이 난해하여 수험생들이 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다.
(2) 자신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1등급을 노리는 학생이라면 독서 4지문이라면 적어도 1지문 정도는 지문 이해와 기억을 바탕으로 한번에 문제를 풀어야 한다. 그래야 고난도 지문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 만약 3등급 이하의 학생이라면 현실적으로 1지문 정도는 버리고 가야 한다. 만약 시간이 남는다면 그 다음에 공략해야 한다.
(3) 주의할 점 : 모든 지문을 같은 시간에 풀 거라는 생각은 하지 말아야 한다. 지문과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시간은 달리 소요된다. 즉, 어려운 지문과 문제에는 쉬운 지문과 문제에 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당황하지 마라.
5. 문학
(1) 현대시, 고전시가, 현대소설, 고전소설, (수필, 극갈래) 등이 출제되며, EBS 연계를 피부로 느낄 수 있다.
(2) 현대시에서 시간을 최대한 절약해야 한다. 현대시는 내용 자체가 많지 않아서 독해의 부담이 적어서 문제 풀이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현대시 해석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은 현대시 해석 공부를 화자의 상황과 정서 파악 중심으로 공부하면 쉽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3) 고전시가는 <보기>를 통해 내용을 파악하여 상황을 판단하고, 또한, 평소에 ‘상춘곡’, ‘면앙정가’, ‘관동별곡’ 등 필수 가사와 EBS 수록 고전 시가 작품을 공부한 친구들이라면 낯선 작품이 나오더라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4) 현대소설, 고전소설은 다른 갈래에 비해 독해의 부담이 많이 있는 갈래이다. EBS 연계가 되더라도 EBS 교재에 실려 있지 않는 장면이 출제될 가능이 높다. 하지만, 산문 문학은 이해가 되면 기억이 나는 속성이 있다.(우리가 드라마를 보면서 내용을 이해하면 기억이 나듯이) 등장 인물 중심으로 갈등을 파악하면 이해하면 기억을 통해서 쉽게 문제를 풀 수 있다.
(5) 수필은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으나, 극 갈래는 해석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평소에 극 갈래 해석 공부를 해야 한다. 인물의 대화는 소설에서 보여주기라고 여기며 읽고, 지문 내용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읽어야 한다.
산술적으로만 보았을 때, 화작문(25분) + 독서(25분) + 문학(25분) +여유시간(3분) + 답안지 작성(2분) 이렇게 나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화작문에서 2~3분 정도, 독서 1~2지문에서 1~2분 정도, 현대시에서 1분 정도, 여유시간 3분까지 합치면 최대 9분정도 여유 시간이 생기면 그 때 어려운 지문과 문제에 집중 투입을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교육청이 생각이 있고 대학들이 최소한의 책임 의식이 있다면 26
적어도 27학년도 입시에서만큼은 사탐런을 전면 금지할 필요가 있음 08년생...
-
뉴분감 2
수분감이랑 뉴런중 어떤거 먼저 하면 좋을까 엄청 찾아봤는데 사람마다 조금씩...
-
내신 언매 시험지에 비해서는 모고 언매는 ㄹㅇ ㅈ밥이라는거
-
잘자요 19
난 뭘 위해 그림을 그려준거지 그래도 내 그림늘 좋아해주는 팬들이 있어서 내가...
-
연대 시반에서 화공 목표로 하고 싶고 작수 언미화지에서 올해 화미 사문 까지 골라서...
-
맞팔 구합니다 1
네
-
전자가 너무사기라 리스크를 걸겠음 최대 10년까지만 돌릴수있고 10년돌리고나면...
-
요즘 뉴비들 3
그 무슨 글 봐서 그런가 다들 갤주 닉 따라하네 ㅋㅋㅋ 근데 그러니까 답 잘달림 ㅋㅋㅋㅋ
-
국어 비문학 1
강기분 vs 피램 생각의 전개 이유도 말씀해 주시먄 감사하겠습니다
-
근데 입문n제는 언제푸는거에요? 빡빡이 펀더멘털같은 0
ㅈㄱㄴㅈㄱㄴ 기출완벽히 끝내고?
-
오래된 생각이다...
-
설의감?? 일반고 1등도 건동홍 가는 학교들도 잇다는데 수시로 교과 전형이면 설의도 되는거아닌가
-
님들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같은 점수라도 등급이 다르잖아요 예를 들어서 작수...
-
과외있는 날은 많이 안하게되네요 반성해야함
-
다즈비 펀치! 다즈비 펀치!
-
어삼쉬사 풀고 바로 자이나 마더텅 드가면 머리깨지나
-
지금 수업이 3월까지 미적분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2월부터 듣게 될 거 같음.....
-
서강대 합격생을 위한 꿀팁 7 [서강대 25][Tip.7]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강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서강대생, 서대...
-
전자는 범위 30km후자는 범위 지구전체 후자크기는 본인몸사이즈가...
-
그림6 4
-
20번대오니깐 올리고 나니깐 풀이 틀려잇는게 꽤잇음 근데 다시 풀려니깐 너무...
-
강의 다시듣기, 책 회독이랑 복습은 다 외울때까지 하는거죠? 0
나만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오면 다음 책으로 넘어가는.. 너무 당연한 질문인가
-
그림5) 2
-
앱깔아서 쳤더니 떨어짐 씨발
-
맛있어 보이죠?
-
여캐일러 투척 11
-
내일 군대갑니다 9
충고좀 해주세요
-
인스타 스토리나 게시글에 합격증 올리셨나요? 예전에는 스토리에 많이 올리는...
-
연대 송도 기숙사 11
기숙사 룸메끼리는 그냥 갠플함? 서로 과도 다 다르다는데 보통 관심 없나 서로
-
정시 삼룡의 국어 98 ( 언어음운변동틀 ) 수학 96 ( 22틀 ) 물리 50 이...
-
그림4) 1
-
간첩이 대통령보다 대우받는 나라ㄷㄷ
-
제곧내
-
친구가 4칸짜리써서 예비 20번대? 라는데 맞나요?
-
매일술먹으니깐 2
기부니가돟아여
-
뭐고름?
-
진짜 최근에 이정도로 바빴던 적이 없었는데
-
이미 교재에 풀이를 다 적어버렸는데.. 배기범이 다시 풀라고 강조한 부분만 풀이 지워서 반복해야하나
-
지금2번째 돌려듣는중인데 한번더들을듯 지문도 문단으로토막낸거 4~6개 풀지문2개...
-
코딩도 해야되고 셈본 조합론 보고싶음
-
설법?? 1
이거 무슨 드립임?
-
그림3) 5
-
제발
-
사탐 뭐 일타가 "도표에서 굳이 이정도의 공식까지 암기해서 쓸 필요...
-
생윤 수특 0
3학년 내신 생윤 선택했는데 수능도 생윤칠거라 지금 리밋 듣고있는데 내신 셤기간때...
-
지향합니다
-
진짜 고능하네 17
어캐 이런 천재적발상을 한거지 일주일도 안걸릴듯
-
한라산 투 관악산 레츠고
-
그림2) 6
올해 문학연계는 .... ㅠ
EBS연계 중에서 그나마 느낄 수 있는 것이 문학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문학도 낯선 작품과 부분을 대비하여 독해력을 길러야 합니다
평소에 75분으로 풀면 대.부.분 수능가서 망합니다 예비고3 여러분-올해 수능본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