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이영준T] 수능 국어에서 시간과의 싸움 전략
오늘 '독서, 화법, 작문 길잡이' 강좌를 오픈했습니다.
설레고 떨리기도 합니다.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는 진실된 수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각 갈래별 특징과 그에 따른 시간을 줄이는 법입니다.
[공통]
1. 정답인 줄 확실하게 알면 넘어가라.(오답인 이유까지 알 필요는 없습니다. 정확히 풀었다면 자신의 답에 자신감을 지니세요^^)
2. 지문 내용을 이해하고, 정확히 기억해서 풀어라.(이것보다 확실하게 시간을 줄이는 법은 없어요)
화법
(1) 특징 : 시험 문제 처음에 나오며, 내용은 쉽지만 정보량이 많은 것이 특징 그래서 심리적 부담감을 느낌.
(2) 대책 : 정보량이 많지만 내용은 쉽다. 그러기에 읽는 중에 풀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간다.(독서는 중간에 끊어서 문제 풀면 안 된다. 왜냐하면 지문이 어렵기 때문에 나중에 무슨 내용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올해 1번 문제는 ① [A], ②[B], ③[C], ④[D], ⑤[E] 이렇게 나았는데, 읽어 가면서 ①번을 보고, 또 읽어가면서 ②을 보고, 이런 식으로 읽는 중에 해결해 나가면 된다. 그리고 다른 문제는 다 읽은 것을 바탕으로 풀어 나가면 된다.
(3) 주의할 점 : 화법은 시험 처음에 나오기 때문에 너무 의욕적으로 접근해서 빨리 풀려고 하면 오히려 시험을 망칠 수 있다. 정보의 양이 많기 때문에 빨리 읽으려고 하면 정확하게 풀기 어렵다. 오히려 여유롭게 생각하면서 문제를 풀어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지문의 내용이 많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다.
2. 작문
(1) 특징 : 자료를 분류하고 적용하는 논리성, 고쳐 쓰기 부분에서 문법 문제, 표현법 문제 등으로 출제 된다.
(2) 화법보다는 까다로울 수 있지만, 독해 부담이 적기 때문에 화법보다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작문은 문제 유형별 문제 풀이 방법을 공부해서 시간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자료 해석 및 분류 문제는 지문을 볼 필요 없이 문제와 자료를 바로 비교하면 되어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주의할 점 : 자료의 통일성, 일관성 등을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논리적 문제 풀이 능력이 필요하다. ※ 참고) 자료 해석의 경우, 문제 자체가 복잡하기 때문에 정답이 뒤에 있을 확률이 높다.(확률이 높은 것이지 100%는 아님) 뒤 선지부터 풀면서 정답이 나오면 바로 넘어가야 한다.
3. 문법
(1) 특징 : 현재 B형처럼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기에 기본 개념을 바로 물어보는 문제보다는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해석하는 문제가 출제될 것이다.
(2) 독해로만 보면 독해의 양이 적기 때문에 기본 개념이 튼튼하게 자리잡혀 있으면 문제 풀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주의할 점 : 기본 개념이 빈약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4. 독서(비문학)
(1) 특징 : 지문이 길고, 내용이 난해하여 수험생들이 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다.
(2) 자신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1등급을 노리는 학생이라면 독서 4지문이라면 적어도 1지문 정도는 지문 이해와 기억을 바탕으로 한번에 문제를 풀어야 한다. 그래야 고난도 지문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 만약 3등급 이하의 학생이라면 현실적으로 1지문 정도는 버리고 가야 한다. 만약 시간이 남는다면 그 다음에 공략해야 한다.
(3) 주의할 점 : 모든 지문을 같은 시간에 풀 거라는 생각은 하지 말아야 한다. 지문과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시간은 달리 소요된다. 즉, 어려운 지문과 문제에는 쉬운 지문과 문제에 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당황하지 마라.
5. 문학
(1) 현대시, 고전시가, 현대소설, 고전소설, (수필, 극갈래) 등이 출제되며, EBS 연계를 피부로 느낄 수 있다.
(2) 현대시에서 시간을 최대한 절약해야 한다. 현대시는 내용 자체가 많지 않아서 독해의 부담이 적어서 문제 풀이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현대시 해석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은 현대시 해석 공부를 화자의 상황과 정서 파악 중심으로 공부하면 쉽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3) 고전시가는 <보기>를 통해 내용을 파악하여 상황을 판단하고, 또한, 평소에 ‘상춘곡’, ‘면앙정가’, ‘관동별곡’ 등 필수 가사와 EBS 수록 고전 시가 작품을 공부한 친구들이라면 낯선 작품이 나오더라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4) 현대소설, 고전소설은 다른 갈래에 비해 독해의 부담이 많이 있는 갈래이다. EBS 연계가 되더라도 EBS 교재에 실려 있지 않는 장면이 출제될 가능이 높다. 하지만, 산문 문학은 이해가 되면 기억이 나는 속성이 있다.(우리가 드라마를 보면서 내용을 이해하면 기억이 나듯이) 등장 인물 중심으로 갈등을 파악하면 이해하면 기억을 통해서 쉽게 문제를 풀 수 있다.
(5) 수필은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으나, 극 갈래는 해석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평소에 극 갈래 해석 공부를 해야 한다. 인물의 대화는 소설에서 보여주기라고 여기며 읽고, 지문 내용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읽어야 한다.
산술적으로만 보았을 때, 화작문(25분) + 독서(25분) + 문학(25분) +여유시간(3분) + 답안지 작성(2분) 이렇게 나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화작문에서 2~3분 정도, 독서 1~2지문에서 1~2분 정도, 현대시에서 1분 정도, 여유시간 3분까지 합치면 최대 9분정도 여유 시간이 생기면 그 때 어려운 지문과 문제에 집중 투입을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젠 도파민 떨어짐 다른 도파민을 찾아야겠다
-
잘자요 굿나잇 3
-
햄부기온앤온 0
-
무라카미 하루키 5
다자이 오사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사카구치 안고 나츠메 소세키 가와바타 야스나리...
-
시지프신화 3
맛있다
-
오류인거 확실한데 행정소송 패소한 지문
-
진짜 고맙다.. 내신충이라 그냥 동네 소규모 학원 다니면서 시중 교재로...
-
주홍글씨 5
첨 읽었을 때 너무 인상깊었음
-
숭실 벤처중소 1
숭실대 벤처중소 빠지시는 분이나 최초합/예비 받으신 분 계신가요…? 댓글이나 쪽지 남겨주세요..
-
@슈냥 4
헉
-
함
-
네이버 카페 아줌마들이 자랑질만 하고ㅜ 아무도 정보 공유 안해줌 하…. 오랜만에...
-
고민) 3
이번에 설명절 다녀오고 친척 분들중 사촌형이 7수 해서 약대 갔는데 작년에 입학하고...
-
남자는 남자끼리 여자는 여자끼리가 상식이잖아
-
고도를기다리며 11
기다리며
-
맞팔구 5
-
남자랑 여자랑 서로 사귀는 내용인데 진짜 비현실적임;; 그게 어떻게 되는거지
-
남극
-
초중고 12년 다 공학 다녔습니다. 공학의 낭만은.....솔직히 말해 연애 생태계...
-
연애하고 싶다 0
일단 성소게부터 가는게 맞나
-
모배만 4시간째 9
흑
-
옯스타가뭐에요 2
오르비유저끼리 하는 인스타 그런건가
-
마크 재밌다 3
후후
-
비록 모쏠이지만 미연시겜이랑 블루아카 많이 했었는데
-
안녕히 주무세요 0
ㅤ
-
친구들왈 나같으면 그 성적들고 서연고 다 찔러봤을 것 같다고.. 내가 다 약대...
-
우우증 6
우우... 우우우...
-
이거 ㄹㅇ 궁금한데 안들킨다면
-
말해도 되요?
-
아 롤체 졌음 1
골드갈수있을까
-
단백잘음료랑 바나나하나 우웅 다이어트힘들어
-
호인찌니와 0
그대를나이게
-
그 시절만의 낭만을 느끼고 싶다
-
옯스타 +공스타 0
@study_flover
-
ㄱㄴ 하냐?
-
@black_hitoribocchi 결국 만들었습니다… 본계와는 달리 그냥...
-
서버가 맛이가면 3
어떻게될까요
-
멘헤라 ㅇㅈ 12
어라
-
위기다 6
올해 대학 못가면 위기다
-
개귀찮다
-
전적대 커뮤인 중 가장 위대한 인물
-
0퍼 나와서 다시했는데 왜 또 0퍼인데;;
-
삐삐삐소리
-
확실히 말하는건 무슨 나를 범죄자처럼 매도하거나 도의적으로 욕처먹을짓을 하지를 않았다 5
뭔말인지 정확히 짚고 갈텐데 법적(도의적 [포함관계]에서 도의적으로도 욕처먹을짓...
-
션티 nf 0
키스타트 후 nf 수강중인데 너무 어려워요 션티는 보통 연상을 하면서 해석하는거...
-
갑자기 그거 생각나네 17
펠릭스아가일님이 본인 신끼있다고 대충 미래 봐준다고 했었는데 그때 학업운 물어봤는데...
-
님들님들 4
모바일 배그 재밋음?
-
탑 바루스 탑 이즈 드가자
올해 문학연계는 .... ㅠ
EBS연계 중에서 그나마 느낄 수 있는 것이 문학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문학도 낯선 작품과 부분을 대비하여 독해력을 길러야 합니다
평소에 75분으로 풀면 대.부.분 수능가서 망합니다 예비고3 여러분-올해 수능본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