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이란 무엇인가 10편
수능에는 정말 다양한 과목이 있습니다. 제가 책을 쓰려는 국어부터 수학과 영어, 한국사, 물화생지 등의 과탐과 사탐까지. 이 다양한 과목들 중에서 어떤 과목이 제일 학습의 근본에 부합할까요? 어떤 과목이 학습을 제대로 이해해야 쉽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어떤 과목이 우리에게 가장 과학적인 사고력을 요구할까요?
정답은 ‘수능 국어’와 ‘물리’입니다.(참고로 다시 말하자면 저는 물리1, 화학1 선택자입니다)
앞으로 ‘수능 국어’에 대해서는 정말 질리도록 이야기할 예정이니 이번 시간에는 ‘물리’(이 용어는 수능물리부터 중학교, 대학교 물리까지 모든 물리 과목을 포함합니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고등학교 2학년일 때 아주 훌륭하신 선배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그 선배는 당시 화학공학을 희망하던 저에게 기계공학을 추천해 주셨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계공학에서는 제일 어려운 4대 역학(쉽게 말하자면 물리입니다)을 배우기 때문이다’
저는 당시 이 말씀이 무슨 뜻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당시 제 선배께서는 기계공학을 학부로 나오게 되면, 나중에 어떤 과목이든 하고 싶은 다양한 분야를 마음껏 시도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물론 그 선배는 학부를 기계공학과로 나오셨습니다. 제가 이 말씀들을 이해한 것은 재수가 끝나고 부산대학교를 잠시 재학할 때였습니다.
https://nano.pusan.ac.kr/nano/14193/subview.do
제가 당시 입학한 곳은 ‘광메카트로닉스 공학과’라고 부산대의 나노대 아래의 3개의 학과 중 한곳입니다. 거기 교수님이 정말 저랑 케미가 잘 맞는 교수님이 계셨습니다. 그 교수님이 아직도 기억나는 이유는 여타 교수님들과 달리 아주 현실적인 조언과 잔소리를 해주셨었기 때문입니다. 이 교수님의 말씀을 비롯하여 저는 딱 한 학기동안 대학을 다니면서 관찰한 결과 아주 중요한 사실을 알았습니다.
학생이나 교수들 중에 젊어서 수학과 물리를 정말 빡세게 공부한 사람들은 나중에 성장해서 다양한 분야에 진출한다는 사실이었습니다. 그런데 젊어서 화학공학을 전공한 사람을 예로 들자면, 나중에 대학원 또한 화학공학과 관련된 분야로 진출해야 한다는 한계를 맞닥뜨린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화학공학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학과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오로지 젊어서 역학을 정말 빡세게 훈련하고 공부하는 기계공학과가 가장 미래에 대해서 유연했습니다.
이러한 깨달음을 저는 저희 학과 교수님께(앞서 언급한 그 케미가 맞는다는 분) 이야기 해드렸고, 화학공학을 전공하신 교수님은 제 말을 강하게 긍정하셨습니다. 왜냐하면 그 교수님은 화학공학을 전공함으로써 갖게 되는 한계를 느끼신 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자꾸 제가 화학공학을 예시로 들지만 저는 절대 특정 학과를 비하할 의도가 없습니다 ^^;;)
물리학은 제가 앞서 설명한 과학적 학습, 알고리즘을 가장 충실하게 따르고 있습니다. 물리 문제는 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변용되어 제시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겉보기에 달라보이는 다양한 문제들은 결국 몇 가지 개념과 알고리즘에 의해 해결됩니다.
(물리 문제의 대표적인 유형인 빗면문제. 저기서 변수들에는 어떤 숫자든지 들어올 수 있다.
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oshizo&logNo=220805297138&parentCategoryNo=&categoryNo=62&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빗면 문제를 예로 들자면, 문제지에는 정말 다양한 빗면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마찰력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고, 각도가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각각 변수에 들어가는 숫자가 달라질 뿐 해결하는 방법은 똑같습니다. 숫자를 바꿈으로써 무한히 많은 문제로 출제할 순 있지만, 결국 동일한 유형은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해결됩니다.
다시 돌아와서, 왜 하필 젊어서 물리(역학)을 빡세게 공부한 학생이 나중에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을까요? 그 이유를 저는 물리라는 과목의 특성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리는 몇 가지 알고리즘을 통해 우리로 하여금 사고하여 똑같은 논리로 푸는 것을 바라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고력 훈련을 통해 우리는 한층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달라보이지만 다 같은 문제임을 깨닫는 ‘사고력’이 필요합니다.
결국 물리라는 과목은 학습의 가장 기본요건을 충실히 갖추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분명 물리를 함으로써 다양한 이점이 있겠지만, 저는 물리를 하면서 얻는 가장 중요한 점은 바로 과학적 학습을 제대로 훈련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빡세게 훈련을 한 만큼 우리의 사고력과 학습능력은 향상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탄탄한 사고력을 바탕으로 다른 분야까지 손쉽게 침략(?)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럼 반대로 가장 비과학적이고, 학습의 근본적인 성질들을 이해할 필요가 떨어지는 과목이 무엇일까요? 해당 과목을 선택한 학생들에게는 미안하지만 그것은 ‘지구과학’일 것입니다.(저는 비록 지구과학을 선택하지 않았지만 이 부분만큼은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이라는 과목 자체는 사고력을 요하는 부분이 물리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적습니다. 내가 확실히 수많은 개념들을 외우기만 했다면 10분이고 20분이고 순식간에 풀 수 있습니다.
물리에 비해 압도적으로 외워서 푸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학습을 훈련할 기회가 적습니다.(사탐에 대해서는 왜 말이 없냐고 하면, 저는 이과라는 변명밖에 하지 못합니다) 지구과학을 빨리 풀 수 있다는 것은 얼마나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세웠냐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물리에 비해 과학적이지 못합니다.
수능 물리는 특히 자연스럽게 효율적인 생각과 알고리즘을 강요합니다. 최대한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면서 동시에 간단하게 보아야 빠르게 풀어낼 수 있습니다. 복잡하게 설명하던 내용을 조금 더 간단하게 남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최대한 빠르고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당시 재수생활 때 저랑 동갑이었던 한 친구가 있습니다. 그 친구는 물리를 정말 잘했는데, 그냥 잘하는 수준이 아니라 제가 여태 보았던 사람들 중에서 가장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난이도로 출제가 되어도 20문제를 15분 안에 풀어제꼈는데, 한번이라도 물리1 모의고사를 푼 사람은 이것이 얼마나 소름끼치는 말인지 알 수 있을 껍니다.
그 친구가 단순히 물리에 나오는 개념들을 잘 외웠기 때문에 그런 속도가 나올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머릿속에 알고리즘이 아주 명확하고 정확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계속된 반복 훈련으로 더 효율적으로 굳혀나갔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그 친구는 스스로 모르는 사이에 학습의 근본 요건들을 잘 충족시켰기 때문에 그런 수준의 속도가 나올 수 있었던 것입니다.
단언컨대 물리는 우리에게 가장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가르쳐줍니다.
이는 곧 왜 하필 제가 학습을 알고리즘이라고 정의하였는지 이어집니다. 컴퓨터라는 것도 결국은 수학과 물리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하필 알고리즘으로 학습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학습이란 무엇인가(11편 예정)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https://orbi.kr/00024314406 - 6편
https://orbi.kr/00027690051 - 번외편 문과와 이과
https://orbi.kr/00030479765 - 7편
https://orbi.kr/00033799441 - 8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536482 - 9편 + <수국비> 광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왜 모표준편차와 표본표준편차가 다르죠??? 정확히알려주시면 감사해요
-
수리에 어느정도 감각이 잇다치면 시간이없어서 짧게잡고 하고싶은데 6평전까진...
-
저 죄송한데요 수리영역 증명만 따로 모아놓은 책 없나요?? 0
그리고 혹시 난만한님 수리책 언제 나오시는지 아시나요??
-
알텍을 들으려고 프리패스질럿는데요..개정수학1 수학2는 2014년부터 적용되는...
-
제가 이제 고3이 되었는데요....나름 2등급이어서 개념은 잘알고 있다 생각했는데...
-
^^;
-
한 상자 속에 빨간 티셔츠 6개와 파란색 티셔츠4개 총 10개의 티셔츠가...
-
1,2학년때까지 1,2등급나왔는데 3학년때부터 성적이 갑자기 뚝떨어져서 올라오질...
-
한석원샘 굿모닝마이맥이랑 본강의랑 스타일 같은가요? 2
한석원샘 굿모닝마이맥 듣는데뭔가 저는 강의가 루즈해지는 느낌이 좀...
-
그냥 기계적으로 풀고 있기는 한데.. 'd'라는 것의 의미 파악이 힘드네요..
-
수리의 비밀? 수리의 비밀 언제 판매 시작되나연?
-
일타삼피 가형 사신분있나요?? 저는 지금 교재가와서 보고있는데 0
여기에 수1 수1 적통 기벡 다 들어가있는건가요??
-
5월쯤에 나올꺼같은데 ㅠㅠ 재수생이라.... 국사랑 아랍어도 들어야되서 걍 초반에...
-
rtyu
-
음.. 출제의도에 접근하게끔 ㄱㄴㄷ를 만들었는데..어떻게 하면 더 깔끔하게 될지...
-
우선 기본정석은 기벡까지 끝내고 자이스토리도 전범위 다 풀었습니다.. 현역인데요...
-
제가 고1때 수학 성적이 바닥인데다 기복이 있어서 2등급에서 4등급까지...
-
현 고3이에요. 전 수리를 학원에 다니지 않고 혼자 공부하고 있어요.모의고사는...
-
올해 서울대 목표로 수리 가형 시작한 문과 학생입니다.우선 지금 당장은...
-
올해 고 2인데요, 지금 고1수학 복습할 필요가 있을까요? 0
제가 고1때 수학 성적이 기복도 있고 좀 별로였는데요.. 담임선생님께서 길게 봐서...
-
문과생이구요 현 2등급 학생입니다...몇일전에 사서 현재 수1 100 번까기...
-
중학, 고교 토킹수학 시리즈를 구입하였습니다.중학교 3개년 과정과 고등학교 10가...
-
경찰대 이런데에 수1만 들어가서 그런건가요? 이관데 너무 부담스럽네요ㅋㅋ
-
제곧냏ㅎ 교육청 문제 다들간건가요? 평가원이랑.. 작년에 메가스터디 수학1풀었는데...
-
그나저나.... 0
수리의 비밀 언제 나옴요?
-
[문제글]...
-
평가원 기출도 계속 돌리고 ebs도 다보고 교육청 기출을 계속 돌리는 것도...
-
ebs 공부!!!!!!!!!!!!!!!!!!!!!!!!!!!! 1
ebs 공부 어떻게 하시나요인강 또 따로 들어야 하나요?언수외만요
-
안녕하세요? 이제 고2가되고 어제 개학했습니다.EBS 고2 예비과정 수학...
-
원위의 두점의 중점을 원점이랑 이으면 원위의 한점이랑 중점이랑 해주세용원점사이의...
-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중심이 O인 원 위의 한 점 A에서 출발하여 원 위를 시계...
-
원래 수1도 마플로 하려고 했는데 수1 1과목에 거의 2000문제라 너무 시간소요가...
-
여러분들은 수학공부 어떻게 하셨어요?? 저는 과외수업듣고 과외에서 좀 부족한거...
-
장수생인데요...;수리가형 풀때마다 느끼는게 어떻게 풀지는 대충알것같은데...
-
지금 수1을 신승범T로 다 끝냈는데,제가 년초에 팔던 T패스를 못샀습니다....
-
시기상 지금은 기출이나 ebs 파는게 맞는것같고.. 솔직히 수리는 ebs 상관없는거...
-
현재 고2 이과인데요 방학동안에 수1,수2 기본정석 3회독과 쎈b단계를...
-
문제라기보다, 새로운 수학적 내용을 소개한다는 느낌으로 한번...
-
저 한석원샘 경우의수 문제풀때 다르게 푸시지않나여? 2
순열조합경우의수는 오히려 더해깔리고 이해가 안되네여..ㅠㅠ수2미적은 그냥 감탄했는데..
-
한석원 성공하신분 16
한석원 들어서 1등급 수렴하신 분 안계시나염??? ㅠㅠ (이과염)딴 샘들은 몇명...
-
작년에 재수해서 미적 첨 접하고 신승범 2학년용 수접듣고 수해듣고 학원수업듣고...
-
log의극한값 2
lim (logx) 의 극한값을 구할때 우극한만 존재하니까 우극한으로만...
-
(급해요)(엑박수정) 수열의극한 O,X문제 하나만 풀어주세요!! 6
위에 두 문제좀 풀어주세요!!! 잘 모르겠어요 !!! -ㅅ-;; 참고로 정답은...
-
작년에 재수해서 미적 첨 접하고 신승범 2학년용 수접듣고 수해듣고 학원수업듣고...
-
저번에 난만한님이 올리신글보고 이과일경우 수리랑 과탐만 파서 수시로 써보는것도...
-
이거 시간표짜는것도 일이더군요 제 나름대로 3일간 머리쓰면서 짠다고 짰는데학원처럼...
-
1부터 5까지의 자연수가 적힌 5개의 공이 각각 들어있는 두상자 A B가 있다 A...
-
재종반 다니고 수능특강만 사놓은 문과 삼수생입니다.수리인강을 좀 들으려고...
-
언어,외국어 그리고 과탐 문제집을 고를때는 마음 가는데로 쭉쭉 뽑아다 씁니다.그런데...
-
마플에 평가원모의랑 수능 몇개년 포함인가요??? 2012수능도 포함인가요?
물리 15분컷은 무서운정도가 아닌데요
수학도 비슷하지 않나요
하앙 ㅠㅠ 님 칼럼 ㄹㅇ 개꿀잼임